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투자 스타일이 바뀌는 이유 투자성향은 바뀌는가? 사무실 직원이었을 때의 나. 사무직을 7년간 해왔을 때는 솔직히 주식에 미쳐있었다. 거의 하루종일 시황과 주식창을 보기 바빴다. 원격으로 집 컴퓨터와 연결하여 회사 컴퓨터로 HTS로 매매까지 했었다. 그러니 당연히 단타, 스윙 위주 거래를 하였고,, 업무시간에 업무는 하지 못했다. 그래서 장이 끝나고 일이 끝날 때까지 야근하기 일수였다. 결과는? 나름 책임감이 있던 나라서, 늦은 새벽까지 나의 할 일은 모두 마쳤지만, 주위 시선은 좋지 못했다. 결국 누군가 나를 감사실에 신고하였고, 근무시간에 주식만 하는 사람으로 낙인 찍히게 되었다. 그 동안의 수익으로 안정적인 부동산을 취득하여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회사를 퇴사하였다. 부동산 수익과, 7년간의 투자 노하우라면, 뭐든지 될 줄 알았다.. 2023. 4. 16.
주식 공부가 처음이라면? 주식 공부가 처음에 어떻게 시작할까? 주식 효과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접하는 분들은 주식 공부를 시작하고자 하시는 분들이라고 생각됩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겨우 주식 거래하는 방법만 공부하고, 뉴스, 유튜브, 주식방송에서 언급되는 종목 또는 주위에서 좋다고 이야기하는 종목을 매수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부동산에 원금, 이자 내느라 그리고 돈이 많으면 많은 대로 적으면 적은 대로 소비를 하다 보니 일 년에 1000만 원 모으는 것도 힘듭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힘들게 모은 돈을 이렇게 허무하게 써 버리다니요.. 이렇게 힘들게 모은 돈을, 일면식도 없는 소위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의 말만 믿고 산다는 것이 여러분이 보시기에 옳은 방법이라고 생각이 되.. 2022. 12. 8.
키움증권 HTS 영웅문_주식차트 보는 법 (추세)_주린이 주식차트 보는 법 (추세편) 오늘은 주식차트 보는 법 중, 추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세는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봉 차트를 보면서 함께 알아가 보겠습니다. 다른 부분도 공부하실 분들은 아래 글 참고하세요 '주식공부 (초급편)' 카테고리의 글 목록 공부 없는 투자는 도박일뿐이다. 꾸준하고 유연하게 공부하고 투자하는 블로거 choice090.tistory.com '주식공부 (중급편)' 카테고리의 글 목록 공부 없는 투자는 도박일뿐이다. 꾸준하고 유연하게 공부하고 투자하는 블로거 choice090.tistory.com 상승추세 위 그림과 같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주가가 전의 고점을 상승 돌파하며, 오르는 추세를 말합니다 하락 추세 위 그림과 같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주가가 전의 저.. 2022. 12. 2.
주식 너무 걱정되시나요? 정말 주식에 대해 모든 것이 낯선 저희 어머니에게 설명한다고 생각하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코로나이슈로 주가 폭락 후, 동학개미운동으로 주식에 많은 개인들이 참여하셨는데요 ​ 지금 너무나도 걱정하고 계실 것 같아서 간단히 한마디 드리고자 합니다. ​ 정말 주린이라면, 종목차트만 보거나 아애 차트를 안보시는 분들 계시겠지만, ​ 아래 코스피 차트를 한번 봐주세요. 빨간색은 주가가 오르는 날, 파란색은 주가가 내리는 날, ​ 이를 차트로 표시하여 1990년부터 현재까지의 차트입니다. ​ 봐도 무엇인지 모르겠죠 차트를 바꿔볼께요 ​ 아래차트로 보시면 그래프가 1990년대 종합주가지수가 300에서 최근 3300부근까지 갔다가 ​ 조정받는 모습입니다. ​ 어디까지 떨어질지, 언제 반등을 할지 하루하루 고민이 .. 2022. 11. 18.
미국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뭘까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가 발표되고 나서, 지수가 큰폭으로 조정 받았는데. CPI가 무엇인지 알아보죠 소비자의 물가지수란, 간단하게 물가가 올랐나 안올랐나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쉽게 생각봐요! ​ 어릴적에 새우깡이 얼마였나요? 2000년에는 1000원도 안했을 텐데, 올해는 2000원을 내야 한다면? 과자 몇 개 집으면, 밥 값보다 더 비싸게 된.. 즉, 물가는 올랐고 화폐가치는 내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렇게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 한국에서는 통계청, 미국에선 고용통계국이 매월 발표합니다. ​ 일상 생활에서, 소비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소비자물가는 경기를 판단하고, 임금 산정, 금리 인상여부를 확인하는 자료로 .. 2022. 11.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