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날짜 (2019.10.24)
코스피
코스피시장, GDP 부진에도 외국인 순매수 등에 소폭 상승.
밤사이 뉴욕증시가 주 요 기업 실적 부진에도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했으며, 주요 유럽증시는 브 렉시트 연기 전망 속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089.85(+9.23P, +0.44%)로 상승 출발. 장중 고점에서 출발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전 장중 하락 전환한 뒤 낙폭을 확대. 2,067.90(-12.72P, -0.6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 대부분을 만회하며 약보합권에서 움직이는 모습. 오후 장중 상승 전환에 성공했고, 장 마감까지 서서히 상승폭을 확대한 끝에 2,085.66(+5.04P, +0.24%)에서 장을 마감. 3분기 실질 GDP 부진등에 장중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외국인이 1,700억원 넘게 순 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음. 한편, 한국은행은 이날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이 전기대비 0.4% 증가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수치로, 올해 연 경제성장률 2%대 달성이 사실상 어려워졌음.
중국이 소폭 하락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상승하는 등 주요 아시아증시는 대체로 상승.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보다 0.5원 상승한1,172.9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738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27억, 55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개인과 기관이 각각 628계약, 2,317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379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SK(+4.61%), SK하이닉스(+2.96%), SK이노베이션(+2.51%), 기아차(+2.10%), LG생활건강(+1.96%), 삼성바이오로직스(+1.48%), SK텔레콤(+1.06%), 현대차, 신한지주, 삼성SDI, 현대모비스, NAVER, 셀트리온, KB금융, POSCO 등이 상승.반면, 삼성 전자, LG화학, 삼성물산, 한국전력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비금속광물(+0.98%), 화학(+0.80%), 금융업(+0.78%), 은행(+0.77%), 운수장비(+0.67%), 통신업(+0.57%),기계(+0.55%), 서비스업(+0.40%), 철강금속(+0.36%), 보험(+0.32%), 의약품(+0.2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운수창고(-0.47%), 유통업(-0.30%), 전기전 자(-0.25%) 등 일부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085.66P(+5.04P/+0.24%) [작성일자 : 2019/10/24 16:58]
코스닥
코스닥시장, 외국인/기관 순매도 등에 약보합 마감.
밤사이 뉴욕증시가 주요 기업 실적 부진에도 소폭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58.53(-0.45P, -0.07%)으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660선을 회복한 뒤 662.27(+3.29P, +0.5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내 하락 전환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키워 오전 장중 647.53(-11.45P, -1.74%)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장마감까지 낙폭 대부분을 만회하며 결국 658.75(-0.23P, -0.03%)에서 장을 마감.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 락을 이끌었음. 한편, 이날 코스닥지수는 시총 상위 바이오 대장주들의 움직임에 따라 큰 폭의 변동성을 나타냄.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86억, 232억 순 매도, 개인은 1,516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셀트리온헬스케어(-6.42%), 헬릭스미스(-4.81%), 메지온(-2.25%), 제넥신(-1.89%), 메디톡스(-1.86%), 원익IPS(-1.23%), 에스에프에이, 솔브레인, 셀트리온제약, 컴투스 등이 하락. 반면, 에이치엘비생명과학(+10.67%), 신라젠(+7.25%),에이치엘비(+2.32%), 케이엠더블유(+1.98%), 펄어비스(+1.36%), 스튜디오드래곤(+1.34%), 휴젤, CJ ENM, SK머티리얼즈 등이 상승. 파라다이스는 보합 마감.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출판/매체복제(+2.51%), 일반전기전자(+1.50%), 운송장비/부품(+1.34%), 오락/문화(+1.30%) 업 종이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운송(+0.95%), 기계/장비(+0.86%), 기타 제조(+0.71%), 종이/목재(+0.67%), 정보기기(+0.67%), 비금속(+0.57%), IT 부품(+0.5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유통(-3.30%), 제약(-1.37%), 섬유/의류(-1.21%) 업종이 큰 폭으로 하락 했고, 통신서비스(-0.69%), 인터넷(-0.52%), 금융(-0.20%) 업종 등이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58.75P(-0.23P/-0.03%) [작성일자 : 2019/10/24 16:58]
선물
10월24일 KOSPI200 선물지수는 기관과 개인 동반 순매수 속 소폭 상승.
지난밤 뉴 욕증시가 주요 기업 실적 부진에도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마감한 가운데, 이날 지수선물은 277.80(+0.42%)로 소폭 상승 출발. 장 초반 278.10(+0.52%)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축소하며 하락전환. 낙폭을 확대하며 오전장 274.90(-0.63%) 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선물은 낙폭을 축소한 끝에 장 후반 상승전환에 성공한 뒤 277.60(+0.95P, +0.34%)에서 거래를 마감. 이날 발표된 3분기 실질 GDP 부진에도 불구하고 기관과 개인이 동반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선물 상승을 주도함.
이날 기관과 개 인은 각각 2,202계약, 627계약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2,263계약 순매도. 현, 선물간 가격차이인 베이시스는 0.90을 기록. 프로그램매매는 2,068억 순매수(차익 422억 순 매도, 비차익 2,490억 순매수)
지수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0.95P(+0.34%) 상승한 277.60에서 거래를 마쳤고, 거래량은 전거래일보다 28,537계약 증가한 180,220계약을 기록. 미결제약정은 전거래일보다 636계약 감소한 318,854계약을 기록. [작성일자 : 2019/10/24 16:41]
환율
10월24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위안화에 동조되며 강보합.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1.4원 하락한 1,171.0원으로 출발. 장 초반 혼조세를 보이다 하락폭을 키운 원/달러 환율은 오전 장중 1,167.8원(-4.6원)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서서히 낙폭을 줄였고, 장 후반 상승 전환해 1,173.8원(+1.4원)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1,172.9원(+0.5원)에서 거래를 마감.
원/달러 환율은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이 지속된 점과 위안화 강세에 동조되며 장중 하락 압력을 받았지만, 장 후반 위안화가 달러대비 약세로 전환되는 모습을 보이며 결국 강보합 마감했음.
다만, 국내 GDP 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됐음. 한국은행은 3분 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대비 0.4% 증가했다고 밝힘. 아울러 4분기에도 3분 기와 유사한 성장흐름을 보이며 연간 경제성장률이 목표치 2%에 못미친 1.8%에 그칠 것으로 전망.
원/달러 : 1,172.9원(+0.5원) [작성일자 : 2019/10/24 16:58]
금리
10월24일 국내채권가격은 예상보다 낮은 GDP 발표 속 혼조세.
지난밤 뉴욕 채권시 장은 브렉시트 우려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국내채권가격은 단기채 위주로 하락, 장기채 위주로 상승 출발. 이후단기채는 하락세, 장기채는 상승세를 유지하며 거래를 마감.
3분기 GDP가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서 발표된 가운데, 장기채 위주로 상승세를 기록한 반면, 단기채 위주로는 하락세를 기록했음. 한국은행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대비 0.4% 성장했다고 밝힘. 이는 시장예상치 0.6%를 밑도는 수치임.
국고채 3년물은 전거래일보다 0.8bp 상승한 1.396% 기록. 5년물은 0.4bp 상승한 1.497%를 기록했으며, 10년물은 1.3bp 하락한 1.641%를 기록. CD(91일물)금리는 전거래일보다 1.0bp 상승한 1.37%로 마감. [작성일자 : 2019/10/24 16:56]
728x90
반응형
'경제시황 & 특징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0.24 미국시황 (0) | 2019.10.25 |
---|---|
19.10.24 오늘의 특징주 특징섹터 (0) | 2019.10.25 |
19.10.23 오늘의 특징주 특징섹터 (0) | 2019.10.24 |
19.10.23 미국시황 (0) | 2019.10.24 |
19.10.23 국내시황 (0) | 2019.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