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피시장,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대통령 연설 실망감 속 소폭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국의 EU 車 고율관세 연기 기 대감 등으로 상승.이날 코스피지수는 2,132.48(-8.44P, -0.39%)로 하락 출발. 장 초 반 2,133.37(-7.55P, -0.3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낙폭을 키웠고, 오전중 2,120선까지 저점을 낮추기도 했음. 오후 들어 낙폭을 다소 줄였으나 재차 하락해 2,118.67(-22.25P, -1.0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하는 등 지지부진한 흐름을 지속한 끝에 결 국 2,122.45(-18.47P, -0.86%)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 연설에 대한 실망감 속에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도를 보이면서 코스피지수를 끌어내렸음. 지난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 이코노믹 클럽 연설에서 중국과 1단계 합의가 임박했다면서도 관세 철회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등 원론적인 입장만을 내비쳤음. 아울러, 홍콩 시 위 격화 우려가 지속된 점도증시 전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하락.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0원 상승한 1,167.8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2,420억, 271억 순매도, 개인은 2,280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768계약, 1,020계약 순매도, 기관은 3,019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NAVER(-2.47%), 셀트리온(-2.43%), SK(-2.23%), 삼성바이오로직스(-2.14%), 기아차(-2.06%), 삼성물산(-1.47%), LG생활건강(-1.39%), 삼성생명(-1.32%), 현대모비스(-1.23%), SK 텔레콤(-1.02%), LG화학(-0.94%), POSCO(-0.90%) 등이 하락.반면, 삼성SDI(+0.64%), SK하이닉스(+0.24%)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보험(-2.06%), 의약품(-2.00%), 서비스(-1.61%), 화학(-1.40%), 금융(-1.34%), 운수장비(-1.29%), 은행(-1.20%),운수창고(-1.11%), 건설(-1.06%), 철강/금속(-0.97%), 증권(-0.95%)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복(+0.61%), 종이/목재(+0.09%) 등은 상승.
코스닥시장,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대통령 연설 실망감 속 소폭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65.37(+0.23P, +0.03%)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며 665.48(+0.34P, +0.05%)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이내 하락 전환해 낙폭을 키웠음. 오전 한때 660선까지낙폭을 키웠으나 이후 낙폭을 줄여 오후 들어 663선을 회복하기도 했음. 그러나 재차 하락했고, 오 후 한때 659.95(-5.19P, -0.78%)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장 막판 낙폭을 줄인 끝 에 결국 661.85(-3.29P, -0.49%)에서 거래를 마감. 美 트럼프 대통령 연설에 대한 실 망감 속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가 출회된 점이 코스닥지수에 하락 요인으로 작용.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749억, 477억 순매도, 개인은 1,30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메지온(-9.40%), 에이치엘비생명과학(-5.36%), CJ ENM(-3.08%), 메디톡스(-3.08%), 제넥신(-3.08%), 에이치엘비(-2.60%), 셀트리온제약(-2.57%), 셀트리온헬스케어(-2.31%), 스튜디오드래곤(-1.96%) 등은 하락. 반면, 고영(+2.32%), 휴젤(+1.67%), 케이엠더블유(+1.58%), 헬릭스미스(+1.14%), 컴투스(+0.48%)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이 다소 우세. 방송서비스(-2.05%), 기 타서비스(-1.83%), 통신방송서비스(-1.63%), 오락문화(-1.35%), 유통(-1.12%), 운송장비/부품(-1.03%), 금융(-1.03%), 화학(-0.91%), 디지털컨텐츠(-0.83%), 제약(-0.81%), 운송(-0.68%) 등이 하락. 반면, 컴퓨터서비스(+1.20%), 건설(+0.87%), 비금속(+0.74%), 기타제조(+0.72%), 소프트웨어(+0.72%), 의료/정밀기기(+0.71%), 통신장비(+0.62%), 정보기기(+0.43%) 등은 상승.
11월13일 KOSPI200 선물지수는 외국인, 개인 동반 순매도 속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무역협상 관련 연설 실망감 속 소폭 상승 마감한 가운데, 이날 지수선물 은 283.00(-0.39%)로 소폭 하락 출발.장 초반 283.15(-0.33%)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281선 부근까지 낙폭을 키움. 낙폭을 소폭 만회하기도 했으나 오후장 재차 낙폭을 확 대하며, 280.90(-1.13%)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낙폭을 일부 만회하며 281.85(-2.25P, -0.79%)에서 거래를 마감. 지난밤 트럼프 대통령이 美/中 무역협상과 관련해 원론적인 입장만 내비치면서 실망감이 커진 가운데,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선물 하락을 주도함.
이날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768계약, 1,020계약을 순매도 한 반면 기관은 3,019계약을 순매수. 현, 선물간 가격차이인 베이시스는 0.57을 기록. 프로그램매매는 1,634억 순매도(차익 857억 순매도, 비차익 776억 순매도)
지수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25P(-0.79%) 하락한 281.85에서 거래를 마쳤고, 거래량은 전거 래일보다 9,037계약 증가한 206,509계약을 기록. 미결제약정은 전거래일보다 3,126계 약 감소한 329,387계약을 기록
11월13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美/中 무역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상승.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4.7원 상승한 1,165.5원으로 출발. 장초반 1,165.1원(+4.3원)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키웠고,오전 장중 1,169.0원(+8.2원)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지만, 1,168원선을 중심으로 등락 을 보인 끝에 1,167.8원(+7.0원)에서 거래를 마감.
美/中 무역협상 불확실성이 지속된 점이 원/달러 환율에 상방 압력을 가함. 전일(현지시간) 트럼프 美 대통령이 뉴욕 이코노믹 클럽에서연설을 진행한 가운데, 무역협상 관련 원론적인 수준의 발언 을 진행.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가 곧 타결될 수 있다고 밝히면서도 미국에 좋은 것이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반복했으며, 협상 타결이 무산되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힘. 이어 중국에 대해 사기꾼이라고표현하며, 미국을 속여왔다고 비판했음.
아울러 홍콩 시위 격화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홍콩 시위를 두고 미국과 중국 이 대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점도 원/달러 환율에상승 요인으로 작용.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홍콩인권법안)이 지난달 美 하원을 만장일치로 통과한 가운데, 상원에서도 통과될 지 주목되고 있음. 中 외교부는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의 하원 통과를 반대하는 입장을 밝힌 바 있어, 홍콩문제를 두고 양국이 다시 대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11월13일 국내채권가격은 트럼프 무역 관련 연설 실망감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 채권시장은 트럼프 무역 관련 연설 실망감 등에 상승 마감한 가운데, 금일 국내채권가격은 상승 출발. 이후 상승폭을 확대하며 거래를 마감.
트럼프 美/中 무역협상 관 련 연설 실망감 등에 뉴욕 채권가격이 상승한 점이 국채권가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전일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을 진행한 가운데, 무역 협상 관련 원론적인 입장만 밝히며 실망감이 커졌음. 트럼프 대통령은 “美/中 1단계 무역협상이 가까워 졌지만,협상 타결이 무산되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음.
국고채 3년물은 전거래일보 다 5.4bp 하락한 1.510% 기록. 5년물과 10년물은 각각 5.8bp, 5.5bp 하락한 1.616%, 1.787%를 기록. CD(91일물)금리는 전거래일과 동일한 1.53%로 마감.
728x90
반응형
'경제시황 & 특징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1.13 중국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1.14 |
---|---|
19.11.13 오늘의 특징주, 특징섹터 (로니아빠) (0) | 2019.11.14 |
19.11.12 유럽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1.13 |
19.11.12 미국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1.13 |
19.11.12 일본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2) | 2019.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