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마시황 -
▷트럼프, '러시아 원유에 2차관세 부과' 언급 등에 일부 LPG(액화석유가스), 셰일가스 테마 상승.
▷군비 무장 시대 돌입에 따른 K방산 수혜 전망 등에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미국 제재 속 중국산 선박 수요 감소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조선 및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와이즈버즈(+24.77%)가 틱톡 마케팅 파트너스 에이전시 선정 소식에 급등했고, 틱톡 매각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광고 테마 상승.
▷반면,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95%) 급락 및 공매도 우려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스템반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온디바이스 AI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유리 기판, PCB(FPCB 등) 등 테마도 하락.
▷공매도 재개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하락 영향 등에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 하락.
▷공매도 전면 재개 속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하락.
▷美 트럼프 행정부, 자동차 관세 부과에도 가격 동결 경고 및 트럼프 車 25% 관세 부과 여파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 하락.
▷비트코인 가격 8만5,000달러 하회 속 美 가상화폐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산불 피해 복구 기대감 지속 등에 최근 시장에서 부각됐던 조림사업, 비료, 농업, 모듈러주택 테마 등 하락.
▷AI 거품론 속 마이크로소프트(MS)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투자 취소 여파 지속 등에 전력설비, 전선,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테마 하락.
▷이 외에 탄소나노튜브, 페라이트, 딥페이크,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통신장비, 강관업체, MLCC, IT 대표주, 석유화학, AI 챗봇(챗GPT 등), 폴더블폰, 아이폰, 태양광에너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자율주행차, 정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인터넷 대표주, 낙태/피임, OLED, mRNA, 원격진료/비대면진료, 마이크로 LED, 음원/음반, 철강 중소형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 LPG(액화석유가스) 등 -
트럼프, '러시아 원유에 2차관세 부과' 언급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에 합의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산 석유에 '2차 관세(secondary tariffs)'를 부과하겠다고 밝힘.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NBC 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내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의 유혈 사태를 멈추는 데 합의하지 못하고 그 원인이 러시아라고 판단되면 러시아산 전체 석유에 대해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 이어 "러시아산 석유를 구매하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없게 될 것"이라며, "모든 석유에 25% 관세가 부과될 것이다. 25~50%포인트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강조했음.
▷이 같은 소식에 SK가스, 흥구석유, 한국가스공사, SNT에너지 등 일부 LPG/ 셰일가스 테마가 상승.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군비 무장 시대 돌입에 따른 K방산 수혜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교보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례 없는 군비 무장의 시대로 돌입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NATO 방위비는 24~30년 CAGR 6.2%~9.4%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24년 NATO국 국방비에서 무기획득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의 평균은 약 32.4%로 폴란드의 경우 51%에 육박하기도 한다며, NATO국 국방비 대비 무기획득 예산 비중은 14년 13.84%에서 24년 32.38%까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30년까지 무기획득 예산 비중이 40%까지 증대될 것으로 가정(30년까지 국방비율 3.5% 기준)한다면 무기획득 예산 규모의 연평균 성장률은 24~30년 +11.1% 수준으로 추정(14~21년 CAGR 5.5%)된다고 설명.
▷아울러 미국을 제외한다면 24~30년 CAGR +16.3%로 추정(14~21년 미국 제외한 무기획득 예산 CAGR +7.5%)된다며, 만약 30년까지 국방비율5.0% 달성 기준으로 산정하면 무기획득예산의 24~30년 연평균 성장률은 14.4% 고성장할 것으로 전망. 미국 제외 시 같은 기간 +23.2%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유럽이 발표한 무기 생산능력 기준으로 러시아의 중장기 무기 생산능력 감당이 불가능한 수준이라며, 특히 미국의생산능력을 제외 시 턱없이 부족하다고 밝힘. 결국 이는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의 무기가 쓰일 수 밖에 없다고 분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현대로템, 엠앤씨솔루션, LIG넥스원, STX엔진 등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반도체 관련주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95%) 급락 및 공매도 우려 등에 하락
▷지난 주말 뉴욕 주식시장이 트럼프 대통령 관세정책 불확실성 지속 속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부각 등에 급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급락세를 보임.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0.34(-2.95%) 급락한 4,284.91을 기록. 엔비디아(-1.58%), AMD(-3.22%), 퀄컴(-3.32%),브로드컴(-1.67%), 인텔(-3.85%), 마이크론 테크놀로지(-2.98%) 등이 동반 하락.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우려 및 AI 거품론이 지속되고 있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상호관세를 예고한 대로 4월2일(현지시간)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반도체 관세 우려가 지속되고 있음. 또한, 미국의 투자은행(IB) TD코헨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 취소 소식을 전하면서 미국 빅테크들의 AI 투자 거품론이 이어지고 있음.
▷아울러 1년5개월 만에 공매도가 재개된 가운데, 이에 대한 우려도 부담으로 작용. 키움증권은 31일부터 재개되는 공매도는 수급적인 측면에서 일시적 주가 왜곡을 만들 수 있다며, 외국인의 반도체 등 특정 업종의 집중 공매도로 인해 지수 충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불안감이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네패스아크, 디아이티, 에스티아이, 이오테크닉스, 워트, 미래반도체, 파두, 두산테스나, 에이엘티 등 반도체 테마가 하락.
- 2차전지/전기차 등 -
공매도 재개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금일부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됐음. 2023년 11월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이후 약 17개월 만으로 모든 상장 종목에 공매도가 허용되는 건 2020년 3월 이후 5년 만임.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이차전지(2차전지) 종목들의 대차잔고가 급증. 에코프로는 이달 들어대차잔고가 3,475억원 늘며 개별 종목 중 금액 기준으로는 7번째, 수량 기준으로는 2번째로 많이 증가한 바 있음. 또한, 같은 기간 대차잔고 금액이 가장 많이 증가했던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해 포스코퓨처엠, 삼성SDI 등 대표적인 2차전지 업체도 대차잔고 증가 상위권을 기록.
▷지난 주말 뉴욕증시서 테슬라(-3.51%), 리비안(-4.69%), 루시드(-4.13%)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가 하락. 테슬라가 오는 2일(현지시각) 1분기 출하 성적을 공개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CEO에 대한 반감으로 미국과 유럽 곳곳에서 테슬라 불매 시위가 벌어지고, 테슬라 매장이 공격을 받고 있음. 도이체방크는 테슬라의 1년 뒤 예상 주가를 420달러에서 345달러로 하향 조정하며, 오는 2일 발표할 1분기 출하 전망치도 하향. 시장전망치인 36만~ 37만대보다도 적은 34만~35만대를 예상했으며,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전년동기비로는 11%, 전분기 대비로는 30% 적은 규모임.
▷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 에코프로머티, 에코프로비엠,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 포스코퓨처엠, 삼성SDI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
공매도 전면 재개 속 하락
▷금일부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됐음. 2023년 11월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이후 약 17개월 만으로 모든 상장 종목에 공매도가 허용되는 건 2020년 3월 이후 5년 만임. 공매도 시행전 업종별로 코스닥 종목 중에서는 이차전지, 게임, 엔터, 바이오 종목의 대차거래잔고가 증가한 바 있음.
▷특히, 최근 컴투스, 크래프톤 등 주요 게임사들이 신작을 공개한 가운데, 차익 매물이 출회되고 있음. 크래프톤은 지난 28일 신작 인조이를 출시한 가운데, 출시 2시간 만에 동시접속자 6만명, 스팀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한 바 있음. 컴투스도 지난 26일 일본 ‘프로야구RISING’을 출시한 가운데, 지난 30일 기준 이 게임은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2위, 매출 순위 45위를 기록 중임.
▷이 같은 소식 속 컴투스,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넥슨게임즈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하락.
- 자동차 대표주/부품 -
美 트럼프 행정부, 자동차 관세 부과에도 가격 동결 경고 등에 하락
▷최근 美 트럼프 행정부가 현지시간으로 4월3일 자정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영구적으로 부과할 예정인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디트로이트 자동차 업체들에 전화를 돌려 관세 부담을 소비자들에게 물게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음. 관세를물게 돼 비용 부담이 늘더라도 이를 차 값 인상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전가하지 말라는 것으로 만약 이를 무시하고 차 값을 올리면 백악관이 이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힘. 25%의 관세는 신차 평균 가격을 대당 5천~1만달러만큼 인상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으나, 이들 기업이 차량 가격 동결 가이드라인을 준수한다면, 자동차 업계에 막대한 손실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지난 주말 뉴욕증시서 포드(-1.82%), GM(-1.10%), 스텔란티스(-4.06%) 등 자동차 관련주들이 동반 하락.
▷이 같은 소식 속 HL만도, 기아, 현대차, 한온시스템, 현대위아, 성우, 모티브링크, 디아이씨, 화신정공 등 자동차부품 테마가 하락.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비트코인 가격 8만5,000달러 하회 속 美 가상화폐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하락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8일(현지시간) 美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한때 비트코인 가격은 8만4,168달러에 거래됐음. 24시간 전보다 3.68% 내린 수준으로, 전날 8만7,000달러대에서 거래되던 가격이 8만5,000달러선을 하회했음. 이에 지난 주말 美 증시에서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10.84%), 사이퍼 마이닝(-8.66%), 마라 홀딩스(-8.58%), 클린스파크(-8.35%), 코인베이스 글로벌(-7.77%), 테라울프(-7.17%), 아이렌(-6.04%), 로빈후드(-4.71%) 등 가상화폐 관련주들이 급락.
▷한편, 금일 오후 4시경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8만2,20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 업비트와 빗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2,200만원 부근에서 거래중.
▷이 같은 소식 속 컴투스홀딩스, 다날, 우리기술투자, 갤럭시아머니트리, 위메이드, 한화투자증권, 카카오, 티사이언티픽, 위지트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작성일자 : 2025/03/31 17:13]
- 코스피 시장 -
한솔PNS(010420) : 최대주주 한솔홀딩스, 동사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 진행 소식에 상한가▷한솔홀딩스는 전자공시를 통해 자발적 상장폐지를 목적으로 2025년3월31일부터 2025년4월30일까지 동사 주식에 대한 공개매수를 진행한다고 밝힘. 공개매수 예정 수량은 11,052,677주(발행주식총수의 53.93%이며, 매수 가격은 주당 1,900원임.▷공개매수자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개매수자인 최대주주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대상회사 발행 주식 전부(11,052,677주, 발행주식총수의53.93%)에 대해 공개매수 응모율에 관계없이 공개매수에 응모한 주식의 전부를 매수할 예정이며, 공개매수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라고 언급.
콜마홀딩스(024720) : 美 행동주의펀드 달튼, 동사 이사회 진입에 강세▷정기주주총회 결과, 기타비상무이사 임성윤(달튼코리아 공동대표) 선임의 건(주주제안) 승인 공시. 아울러 문병석 사내이사, 송규영·박민 사외이사가 각각 재선임되고 임 대표 외에 신정식 기타비상무이사가 추가로 신규로 선임되면서 동사 이사회 소속 이사는 기존 7명에서 9명으로 늘어났으며, 재무재표 승인안,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안, 이사 보수 한도 승인안 등도 함께 통과됐음.▷한편, 지난 14일 달튼 인베스트먼트는 주식 보유 목적을 단순투자목적에서 경영참여목적으로 변경한 바 있음.
SNT에너지(100840) : BECHTEL ENERGY INC.와 약 366억원 규모 Air cooler(에어 쿨러) 추가 공급계약 체결 등에 상승▷지난해 12월 BECHTEL ENERGY INC.와 체결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Air cooler(에어 쿨러))체결 정정공시. 정정사유는 계약금액 증액 및 계약기간 종료일 변경으로 계약금은 기존 718.7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2.33%)에서 1,085.6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3.72%)로 약 366억원 증액됐으며, 계약종료일은 2026년9월27일에서 2027년3월26일로 연장.▷언론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지난해 12월 체결된 718억원 규모의 미 루이지애나 LNG 프로젝트 에어쿨러 공급계약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고 전해짐. 루이지애나 LNG 프로젝트는 루이지애나 지역에 대규모 LNG 수출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미국 내 천연가스 생산 증가와 글로벌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대형 에너지 인프라 개발사업임. 여기서 벡텔이 EPC(설계·조달·시공)를 총괄하고, 동사가 에어쿨러 제작을 담당한다고 알려짐.
현대건설(000720) : 주가 리레이팅 전망 등에 상승▷LS증권은 동사에 대해 점진적인 사업 가시화를 확인하며 주가가 리레이팅 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 28일 '2025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해 성장전략과 중장기적인 재무목표를 공개했다며, 금번 제시한 재무목표는 사실상 어느 정도 사업 스콥이확정된 대형 원전, SMR, 국내 개발사업 등 이미 보유하고 있는 가시적인 사업 영역을 바탕으로 제시된 실현 가능한 수준의 목표치로 보인다고 언급. 이어 국내 주택 시장의 성장의 한계를 고려할 때, 신성장동력을 발굴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밸류에이션 갭은 점차 벌어질수밖에 없을 것으로 추정.▷아울러 동사의 에너지 사업은 기존 컨벤셔널 에너지를 바탕으로 하는 중동, 아시아를 벗어나 개화하는 신재생 에너지, 그 중 미국, 유럽의 선진 시장을 타겟으로 한다는 점에서도 역시 고무적이라고 언급. 상반기는 개선된 실적이, 연말에 가까울수록 불가리아 원전이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업종 내 Top picks 종목 중 하나로 추천을 유지한다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8,000원[유지]
진에어(272450) : 운임 하락으로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6%(YoY) 감소한 4,050억원, 영업이익은 38% 감소한 607억원(영업이익률 15.0%)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국제선 RPK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높았던 운임 기저와 경쟁강도 증가에 따라 국제선 여객 운임은 전넌 대비 10% 감소한 100원/km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이어 1분기 들어 LCC 여객 증가세는 FSC 대비 낮은 상황이라며, 통상 1분기는 LCC 성수기로 동사는 최근 2년간 영업이익의 절반이 1분기에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1분기 수요의 둔화는 LCC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힘.▷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4,000원 -> 12,000원[하향]
세아베스틸지주(001430) :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 183억원(흑자전환 QoQ)으로 시장 기대치(262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재고평가손실, 노동 관련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부진했던 2024년 4분기와는 달리 흑자 기록이 가능하겠으나, 전년동기대비로는 이익 감소세(6개 분기연속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추정. 특히, 전방 산업 부진 및 판매믹스 악화로 평균판매단가가 하락(세아베스틸 -6.8% QoQ, -7.6% YoY / 창원특수강 -9.8% QoQ, +3.7% YoY)할 것으로 전망.▷아울러 올해 실적은 매출액 3.7조원(+1.0% YoY), 영업이익 1,201억원(+129.4%)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이는 기존 영업이익 추정치에서 8.5% 하향 조정한 수준으로 자동차, 건설, 기계 등 전방산업의 부진의 여파를 피해가기 어렵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4,000원 -> 23,000원[하향]
LG생활건강(051900) :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매출 1조 6,814억원(-2.7%YoY), 영업이익 1,281억원(-15.2%YoY)으로 컨센서스(1,370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국내 화장품 주 채널의 매출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해외 법인에서의 마케팅 투자 지속되며 수익성 둔화가 전망된다고 밝힘.▷아울러 동사의 주가는 연초 29만원을 기점으로 10% 이상 완만히 반등했고 이는 중국 회복에 기대감을 선반영한 주가라며, 손익 회복까지는 시간이 다소 소요될 것으로 추정.▷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330,000원[유지]
한미반도체(042700) : 1분기 실적 시장예상치 하회 전망 등에 급락▷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400억원, 영업이익 686억원 전망 공시.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가에서 예상한 올해 1분기 동사의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예상치는 각각 1,696억원, 824억원임.▷한편, 동사는 1분기 해외고객사 비중 90%로 상승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시장 일부에서는 한화비전 산하 한화세미텍이 SK하이닉스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용 TC본더를 공급한 영향이라는 평가가 제기되며 HBM 장비 독점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도 부각되는 모습.▷아울러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속 반도체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 코스닥 시장 -
바이오솔루션(086820) : 무릎 골관절염 세포 치료제 ‘카티라이프’ 상반기 중국 진출 기대감 등에 강세▷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하이난 보아오 러청 의료 선행구 관리국’(하이난 의료 관리국) 및 중국의 대형병원들과 무릎 골관절염 세포 치료제 ‘카티라이프’의 올해 상반기 중국 직진출을 위한 구체적인 판매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짐. 특히, 병원들과는 하이난 의료 관리국 화이트리스트 등재를 목표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짐.▷이정선 대표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중국 의료계가 카티라이프와 같은 자가연골세포치료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회사에서도 기대하고있다”며 "동종 연골 세포치료제인 카티로이드의 해외 임상 IND 신청도 상반기 내 긍정적인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 차세대 이중표적항암제 '네수파립', 美 AACR서 비임상 결과발표 예정 소식에 상한가▷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4월 말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2025에서 자사의 차세대 이중저해 표적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인 네수파립(Nesuparib)의 위암 관련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힘. 네수파립은 PARP와 탄키라제(TNKS)를 동시 억제하는 차세대 합성치사 이중 표적항암 신약 후보물질임.
▷AACR이 공개한 초록에 따르면, 이번 연구발표는 기존 PARP 저해제가 승인받지 못한 적응증인 위암에서 네수파립의 작용 기전과 항종양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담고 있다고 전해짐. 특히, 초록을 통해 일부 공개된 위암세포 성장 억제 세포실험 결과, 네수파립은 PARP 저해제인 올라파립 대비 28배, TNKS 저해제인 XAV939 대비 13 배 높은 항종양 효능을 보였다고 알려짐. 위암세포를 쥐에 이식해 항종양 효능을 실험하는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을 통한 동물 실험에서 네수파립 단독투여군이 올라파립 단독 투여군보다 우수한 항암 효과를 보였고, 위암 표준항암화학요법제 '이리노테칸'과 병용 투여 시 이리노테칸 단독 투여 대비 항암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네수파립의 차별화된 기전과혁신적인 비임상 결과가 FDA 희귀의약품 지정 심사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는 자큐보 후기 임상 및 허가를통해 확보한 신약 성공 개발기술역량과 자큐보 출시를 통해 확보된 충분한 자금 유동성을 기반으로 네수파립의 추가적인 임상 2상 개발을 통해 치료 적응증들을 확대하고,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집중 노력하겠다"고 밝힘. 또한, "글로벌 5대 암종임에도 미충족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가 큰 위암시장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이어나가 위암 치료에서 새로운 희망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
▷한편, 이 같은 소식 속 동사 최대주주인 제일약품이 급등, 계열사인 제일파마홀딩스도 강세를 기록.
와이즈버즈(273060) : 틱톡 마케팅 파트너스 에이전시 선정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최초로 틱톡 마케팅 파트너스(TikTok Marketing Partners, TMP)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밝힘. 틱톡 마케팅파트너스 프로그램은 틱톡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프로그램으로 틱톡에 최적화된 광고 컨설팅을 제공하며, 광고주가 틱톡 플랫폼에서 성공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대행사를 엄선해 공식 인증하는 제도로 전해짐.▷이번 틱톡마케팅 파트너스 선정을 계기로 동사는 틱톡 광고 관련 독보적인 전문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아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의 입 지를더욱 공고히 다질수 있게 됐음. 또한, 틱톡의 마케팅 파트너 대행사로서 동사는 틱톡과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캠페인을 실행하며 고객사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도울 예정.▷김종원 대표는 "국내 브랜드들이 틱톡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광고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략적 방안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틱톡을 활용해 성공적인 마케팅을 펼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 전략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힘.
소룩스(290690) : 아리바이오 흡수합병 일정 확정 속 강세▷지난 28일 장 마감 후 회사합병 결정 정정공시(일정 및 합병가액 및 합병비율 등). 합병기일은 미확정에서 2025년8월1일로 확정됐으며,신주의 상장예정일도 미확정에서 2025년8월18일로 확정. 합병가액 및 합병비율은 1:1.8547163에서 1:1.8556207로 변경.▷한편, 지난해 8월 ㈜아리바이오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 대 1.8556207, 합병기일:2025-08-01, 신주상장예정:2025-08-18) 공시.
차이커뮤니케이션(351870) : 80억원 규모 배당가능 재원 확보 등에 강세▷정기주주총회결과,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가결 공시. 동사는 80억원 규모의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는 안건을의결했으며, 이번 의결로 배당가능 이익이 늘어남에 따라 동사는 배당 등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에 적극 나설 방침임. 또한, 임직원들에 대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하는 안건도 결의했으며, 이번 임직원 스톡옵션 부여를 통해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AI 기술에 기반한사업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상장 후 처음 개최하는 주주총회를 통해 주주환원 정책과 책임경영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사업 성장과 함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경영환경을 구축하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AI 사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언급. 이어 "최근 론칭한 AI 데이터 수집 및 정제 플랫폼 ‘CHAIN’을 통해 학습한 210억 건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을 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며, "AI 기술을 고도화해 디지털 마케팅 시장 지배력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힘.
하이젠알앤엠(160190) : 올해 대기업에 자율주행로봇 공급 예정 소식에 소폭 상승▷일부 언론에 따르면, 공장내 운반로봇으로 쓰이는 자율주행로봇(AMR)을 대기업에 올해 공급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함께 국내 유일 내압방폭형 서보모터를 생산 중인 동사는 75kW 서보모터의 관심업체 방문이 이어지면서 시제품 시연 등이 증가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동사 관계자는 “최근 공장내 운반로봇으로 쓰이는 자율주행로봇(AMR) 관련해 대기업과 문의 단계로 올해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힘.
엔젠바이오(354200) : 급성 골수성 백혈병 정밀진단 'NGS 패널' 수출용 의료기기 허가 획득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MRDaccuPanel AML FLT3(엠알디아큐패널 에이엠엘 에프엘티쓰리)'의 수출용 의료기기 제조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MRDaccuPanel AML FLT3'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의 주요 분자 바이오마커인 FLT3 유전자의 ITD(Internal Tandem Duplication) 및 TKD(Tyrosine Kinase Domain) 변이를 단일 검사에서 동시에 고감도로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제품임.▷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국내외에서 차세대염기서열분석(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을 기반으로 FLT3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제품은 현재까지 허가된 사례가 없다"며 "이번 MRDaccuPanel AML FLT3의 수출 허가를 통해 국내외 최초 NGS 기반 AML 진단 솔루션으로 유럽 및 글로벌시장 확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실리콘투(257720) : 발란 법정관리 신청 소식 속 발란 투자 사실 부각에 하락▷언론에 따르면, 국내 1위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수백억원대 정산 지연 끝에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전해짐. 최형록 대표이사는 금일 입장문을 통해 "올 1분기 내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애초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지게 됐다"며, "파트너의 상거래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고 밝힘.▷동사는 지난달 발란과 총 150억원 규모의 메자닌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달 28일 1차 CB 자금 75억원을 납입 완료한 바 있음.
크레버스/SK/SK네트웍스/신세계푸드 : 배당락 여파 속 급락▷크레버스/SK/SK네트웍스/신세계푸드, 지난 28일 장 마감 후 배당락 기준가격 안내 공시(적용일:2025-03-31). 기준가격은 크레버스 15,370원, SK 137,000원, SK네트웍스 4,410원, 신세계푸드 31,000원임.[종목]: 크레버스, SK, SK네트웍스, 신세계푸드
올리패스(244460) : 총 149.98억원 규모 유상증자 대금 납입일 연기 속 급락▷지난 28일 장 마감 후 2건의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정정공시. 납입일이 기존 2025년3월28일에서 5월23일로 연기됐다고 밝힘.▷한편, 지난해 12월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제노큐어(변경 예정 최대주주) 대상 1,773,049주(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및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쎌리뉴 대상 886,524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작성일자 : 2025/03/31 17:13]
윌비스(008600)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KD(044180) :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상한가
한솔PNS(010420) : 최대주주 한솔홀딩스, 동사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 진행 소식에 상한가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 차세대 이중표적항암제 '네수파립', 美 AACR서 비임상 결과발표 예정 소식에 상한가
형지글로벌(308100) : 일부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및 형지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와이즈버즈(273060) : 틱톡 마케팅 파트너스 에이전시 선정 소식에 급등
형지I&C(011080) : 일부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및 형지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제일약품(271980) :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 차세대 이중표적항암제 '네수파립', 美 AACR서 비임상 결과발표 예정 소식에 급등
엑시온그룹(069920) : 20억원 규모 사모 영구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모비데이즈(363260) : 이번주 틱톡 매각 합의 전망 속 틱톡 공식 파트너사로 부각되며 급등
스킨앤스킨(159910) : 무인기·신재생에너지 사업 등 본격 추진 소식 속 급등
유라클(088340) : LG '엑사원'과 AI 사업 협력을 위한 MOU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콜마홀딩스(024720) : 美 행동주의펀드 달튼, 동사 이사회 진입에 강세
[작성일자 : 2025/03/31 17:13]
[증권사 신규추천주]
[하나증권]
유니드(014830) :-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감안 시, 원재료인 염화칼륨 가격 상승은 판가 상승의 트리거 가능- 25년 곡물 강세 지속으로 인한 비료 수요 증가로 염화칼륨 가격 반등 가능
세아제강(306200) :- 4Q24 Review 매출액 5.452억원(YoY +24.7%), 영업이익 1,337억원(YoY +201.2%) 기록- 에너지용강관 수출 가격 상승 중으로 수출 위주의 수익성 개선 전망
롯데웰푸드(280360) :- 4Q24 Review 매출액 9,705억원(YoY -0.9%), 영업손실 196억원(YoY 적자전환) 기록- 판가 인상 효과 2분기부터 본격화되며 원가 부담 상쇄해 나갈 것으로 기대
HDC현대산업개발(294870) :- 수원 11~12단지 입주, 서울원 아이파크 매출화 등 자체사업 본격적 실적 개선 기대- 미착공 PF물량 거의 사라진 상태로 섹터 내 투자 매력 높다 판단
이마트(139480) :- 4Q24 Review 매출액 7.2조원(YoY -1.0%), 영업손실 771억원(YoY 적자전환) 기록- 하반기부터 G마켓 관련 손실과 PPA 상각비 제거 될 전망
HD현대미포(010620) :- 탄소포집 프로젝트 증가에 따른 LCO2 운반선 수요 증가에 우호적인 발주 환경 지속- RO-Pax선 취소로 과거 저마진 컨테이너선 물량 해소 시점 단축
하이브(352820) :- 4Q24 Review 매출액 7,253억원(YoY +19.0%), 영업이익 653억원(YoY -27.0%) 기록- BTS의 컴백 하이브 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적인 트래픽 확대 가져 다 줄 것
KT(030200) :- 조직 개편 효과, 아파트 분양 이익 발생으로 25년 1분기 분기 최대 실적 기대- 25년 주주이익환원 규모 9,500억원에 달해 주주 환원 수익률 7.9% 기록
크래프톤(259960) :- 4Q24 Review 매출액 6,176억원(YoY +15.5%), 영업이익 2,155억원(YoY +31.1%) 기록- 라이프 시뮬레이션 신작 [인조이] 출시로 연간 150만장 판매 전망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 4Q24 Review 매출액 4.8조원(YoY +56.0%), 영업이익 8,925억원(YoY +222.1%) 기록- 하반기 K9 자주포 및 천무의 인도 지속 고려, 高수익성 유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
SK하이닉스(000660) :- 4Q24 Review 매출액 19.8조원(YoY +75.0%), 영업이익 8.1조원(YoY +2,236.0%) 기록- 중국의 이구환신에 스마트폰이 포함되며 중국 스마트폰의 채널 재고 소진 가시성 상승
[KB]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 :- 2025년 선케어 ODM 사업 진출 및 북미 전용 OTC 공장 가동 예정- 글로벌 화장품 고객사 내 SKU 확대 지속혜 기대
고려신용정보(049720) :- 국내 은행 부실채권 규모 증가에 따른 추심 업무 수주 증가 예상- 채권추심업 진입 시 금융위원회 허가 필요해 제도적 진입장벽 구축
제외 종목
[하나증권]
세아제강(30620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NAVER(03542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하이브(35282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KCC(00238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동성화인텍(03350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HDC현대산업개발(29487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현대제철(00402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한국전력(01576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CJ(001040) : 종목 교체로 제외(중장기 투자유망종목)
[KB]
뷰노(338220) : 시세부진으로 편출루닛(328130) : 시세부진으로 편출
[한국투자]
코오롱티슈진(950160) : 편출로 제외
'경제시황 & 특징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31 주식시황정리 (1) | 2025.04.01 |
---|---|
25.03.28 특징섹터 & 특징종목 (1) | 2025.03.31 |
25.03.28 주식시황정리 (0) | 2025.03.31 |
23.06.28 오늘의 특징주 알아보자 (0) | 2023.06.28 |
23.02.23 2차전지/전기차 시황 (0) | 2023.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