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시황 & 특징종목

19.11.05 국내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by 주승원 2019. 11. 6.
반응형
코스피시장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지속 속 외국인 순매수 등에 나흘째 상승, 2,140 선 회복.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등에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 고치를 경신했고, 주요 유럽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133.66(+3.42P, +0.16%)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던 지수는 2,128.70(-1.54P, -0.0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상승세로 돌아선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장중 2,140선을 회복한 지수는 2,140선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이어가다 장 막판 2,143.12(+12.88p, +0.60%)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2,142.64(+12.40P, +0.58%)로 장을 마감.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이 지속된가운데, 외국인이 3,3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이날 코스피지수는 나흘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종가기준 지난 5월8일 이후 약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한편,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주요 아시아증시도 일제히 상승.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보다 1.7원 하락한 1,157.5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3,334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111억, 1,41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개인과 기관이 각각 1,716계약, 1,294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766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LG화학(+2.06%), KB금융(+1.74%), 현대모비스(+1.65%), 신한지주(+1.52%), POSCO(+0.92%), 삼성SDI(+0.86%), SK텔레콤(+0.85%), 현대차(+0.81%), 삼성전자(+0.76%), 기아차(+0.71%), SK하이닉스(+0.47%) 등이 상승. 반면, NAVER(-1.82%), 삼성에스디에스(-1.22%), 셀트리온(-0.50%), 삼성물산(-0.48%), 삼성바이오로직스(-0.37%), 한국전력(-0.20%), SK(-0.19%), LG생활건강(-0.16%)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건설업(+1.74%), 보험(+0.98%), 화학(+0.94%), 금융업(+0.94%), 통신업(+0.93%), 은행(+0.83%), 철강금속(+0.82%), 운수장비(+0.82%), 전기전자(+0.78%), 기계(+0.74%), 운수창고(+0.69%), 증권(+0.66%), 제조업(+0.66%) 등이 상승. 반면, 유통업(-0.56%), 서비스업(-0.17%), 전기가스업(-0.14%), 섬유의복(-0.10%) 등 일부 업종 은 하락.

코스닥시장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속 개인/외국인 동반 순매수 등에 상승, 670선 회복.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 스닥지수는 669.47(+1.02P, +0.15%)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낙폭을 다소 키우며 오전 장중 666.00(-2.45P, -0.37%)에서 저점을 형성. 이 내 반등에 성공했고, 장 마감까지 서서히 상승폭을 확대한 끝에 장중 고점인 672.18(+3.73P, +0.56%)로 장을 마감.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이 지속됐고, 제약/바이오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증시에 호재로 작용. 외국인과 개인은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629억, 287억 순매수, 기관은 67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헬릭스미스(+9.09%), 메지온(+6.78%), 신라젠(+5.45%), 메디톡스(+3.98%), 고영(+3.97%), 제넥신(+3.31%), 파라다이스(+1.79%), 셀트리온헬스케어(+1.29%), 휴젤(+0.83%), CJ ENM(+0.46%), 케이엠더블유(+0.20%), 셀트리온제약(+0.12%) 등이 상승. 반면, 에이치엘비(-6.55%), 에이치엘비생명과학(-4.69%), 펄어비스(-3.30%), 원익IPS(-2.36%), SK머티리얼즈(-1.92%), 에스에프에이(-1.74%), 스튜디오드래곤(-0.25%)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제약(+3.29%), 기타서비스(+2.92%), 유통(+1.12%) 업종이 강세를  나타냈으며, 출판/매체복제(+0.96%), 종이/목재(+0.93%), 의료/정밀 기기(+0.88%), 소프트웨어(+0.76%), 음식료/담배(+0.68%), 제조(+0.67%), 기계/장비(+0.58%), 금속(+0.56%),통신서비스(+0.52%)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운송장비/부품(-3.79%), 운송(-2.85%), 기타 제조(-1.11%), 금융(-0.93%), 인터넷(-0.90%), 디지털컨텐츠(-0.85%), 일반 전기전자(-0.72%), 반도체(-0.61%) 업종 등은 하락.

11월5일 KOSPI200 지수선물은 개인/기관 동반 순매수 속 소폭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는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지수선물은 283.50(+0.11%)으 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하락전환하며 282.80(-0.14%)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 오전 장중 상승으로 방향을 잡고 상승폭을 확대하던 지수선물은 장막판 285.00(+0.64%)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284.55(+1.35P, +0.48%)에서 거래 를 마감.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개인과 기관이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선물의 상승을 이끌었음.
이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716계약, 1,294계약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2,766계약을 순매도. 현, 선물간 가격차이인 베이시스는 0.17을 기록. 프로그램매매는 2,433억 순매수(차익 475억 순매도, 비차익 2,908억 순 매수)
지수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35P(+0.48%) 상승한 284.55에서 거래를 마쳤고, 거래량은 전거래일보다 7,459계약 감소한 157,969계약을 기록. 미결제약정은 전거래 일보다 5,460‬계약 감소한 321,971계약을 기록.

11월5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속 위안화 강세 등 에 소폭 하락.
이날 원/달러 환율은 0.8원 오른 1,160.0원으로 출발. 장 초반 강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1,162.0원(+2.8원)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재차 강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임. 오후장 하락전환한 원/달러 환율은 장 막판 1,157.4원(-1.8원)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1,157.5원(-1.7원)에서 거래를 마감.
美/中 무역협상 1단계 합의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위안화가 강세를 보인 점 등이 이날 원/달러 환율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시진핑 中 국가주석은 중국국제수입박람회에서 관세와 제도적 비용을 인하하기 위한 조처를 할 것이며, 수입을 더 쉽게 하기 위한 시범지역 을 양성할 것이라고 밝힘. 이러한 소식에 역외시장에서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은 7.02 위안을 하회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도이에 연동되는 모습을 보임.
또한,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위험자산선호심리가 강해진 점도 원/달러 환율에 하방압력을 가함. 다만, 최근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 부담감 에 낙폭은 제한되는 모습을 보임.

11월5일 국내채권가격은 증권사 국채선물 대량 매수 속 상승 마감.
지난밤 뉴욕 채권시장은 美/中 무역협상 낙관론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국내채권가격도 하락 출발. 이후 상승전환 뒤 상승폭을 확대하며 거래를 마감.
국내채권가격은 오후 들어 증권사가 국채선물을 대량으로 매수하면서 상승으로 거래를 마감하는 모습.
한편, 장 마감 후 발표된 제19차(10월16일 개최)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금리 동결 소수의견을 낸 위원들은 경기둔화세가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금리 인하를 지지한  다른 위원들과 견해를 같이하면서도 추가적인 금리 인하에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밝힌 것으로 알려짐.
국고채 3년물과 5년물은 전거래일보다 각각 2.8bp 1.8bp 하락한 1.522%, 1.659%를 기록. 10년물은 전거래일보다 1.0bp 하락한 1.817%를 기록. CD(91일물)금리는 전거래일보다 3bp 상승한 1.49%로 마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