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2/10 KOSPI 2,098.00(+0.45%) 기관 순매수(+), 경기 회복 기대감(+), 美/中 무역합의 및 美 FOMC 회의 관망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 및 FOMC 회의 관망세 속에 하락했으며, 주요 유럽증시도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 역시 2,081.22(-7.43P, -0.36%)로 하락 출발. 장초반 2,080.16(-8.49P, -0.41%)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했고, 오전 중 상승 전환. 이후 서서히 상승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장 막판 2,100.48(+11.83P, +0.5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2,098.00(+9.35P, +0.45%)으로 장을 마감.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 속에 금융투자를 중심으로 한 기관 이 1,1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오는 15일(현지시간) 미 국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시행 여부와 10~11일(현지시간) 개최될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지며 상승폭은 다소 제한되는 모습.
주요 아시아증시는 중국이 상승한 반면, 일본, 대만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보다 1.4원 상승한 1,191.3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이 1,164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311억, 190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8,089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516계약, 3,536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현대모비스(+1.98%), 기아차(+1.61%), 삼성SDI(+1.57%), LG화학(+1.36%), 삼성물산(+0.70%),삼성바이오로직스(+0.52%), KB금융(+0.52%), 현대차(+0.42%), SK텔레콤(+0.42%), SK(+0.38%) 등이 상승. 반면, 한국전력(-1.57%), 셀트리온(-0.89%), POSCO(-0.64%), NAVER(-0.29%), LG생활건강(-0.16%), 신한지주(-0.11%) 등은 하락. SK하이닉스, 삼성에스디에스는 보합 마감.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운수창고(+1.58%), 섬유의복(+1.28%), 건설업(+1.19%), 운수장비(+1.15%) 업종이 1% 넘게 상승했으며, 증권(+0.92%), 유통업(+0.85%), 화학(+0.63%), 전기전자(+0.59%), 제조업(+0.55%), 음식료업(+0.51%), 통신업(+0.27%), 금융업(+0.24%)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업(-1.28%), 보험(-0.44%), 은행(-0.41%), 의료정밀(-0.41%), 종이목재(-0.17%) 업종 등은 상승.
12/9 KODAQ 627.11(-0.12%) 외국인/기관 순매도(-), 美/中 무역협상 경계감(-), 글로 벌 경기 회복 기대감(+)
밤사이 뉴욕증시가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27.62(-0.24P, -0.04%)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627.76(-0.10P, -0.02%)에서 고점을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확대했고, 오전 중 623.54(-4.32P, -0.6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625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가다 장 후반 낙폭 대부분을 만회한 끝에 627.11(-0.75P, -0.12%)로 장을 마감. 美/中 무역합의 경계감 등 이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 음. 다만, 글로벌 경기 반등 신호 등에 낙폭은 제한되는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52억, 613억 순매도, 개인은 94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젬백스(-13.43%), 케이엠더블유(-4.30%), 에스에프에이(-3.27%), 원익IPS(-1.10%), 셀트리온헬스케어(-0.97%), 펄어비스(-0.95%), 고영(-0.89%), 솔브레인(-0.84%), 스튜디오드래곤(-0.66%), 휴젤(-0.61%), 파라다이스(-0.27%), SK머티리얼즈(-0.24%), 메디톡스(-0.21%) 등이 하락. 반면, 에이치엘비(+4.52%), 셀트리온제약(+1.60%), 헬릭스미스(+1.11%), 메지온(+0.21%),제넥신(+0.19%), CJ ENM(+0.07%)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우세. 기계/장비(-2.16%), 비금속(-1.33%), 일반전기전자(-1.30%), 오락/문화(-1.01%), 컴퓨터서비스(-0.90%), 통신서비스(-0.73%), 통신장비(-0.65%), 건설(-0.61%), 운송(-0.59%), 반도체(-0.55%), 유통(-0.44%), 금속(-0.43%) 업종 등이 하락. 반면,운송장비/부품(+1.70%), 인터넷(+1.15%), 섬유/ 의류(+0.80%), 기타서비스(+0.79%), 소프트웨어(+0.61%), 의료/정밀 기기(+0.60%), 제약(+0.47%) 업종 등은 상승.
12월10일 KOSPI200 선물지수는 외국인 순매수 속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 및 FOMC 회의 관망세 속 하락한 가운데, 이날 지수선물은 277.55(-0.13%)로 약보합권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276.80(-0.40%)에서 저점을 형성하기도 했으나, 낙폭을 축소한 끝에 오전장 상승전환에 성공. 이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확대 한 지수선물은 장 후반 279.65(+0.63%)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279.45(+1.55P, +0.56%)에서 거래를 마감.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 속외국인이 순매수를 보이며 지수선물 상승을 주도함.
이날 외국인은 8,348계약을 순매수한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3,795계약, 2,516계약을 순매도. 현, 선물간 가격차이인 베이시스는 0.14를기록. 프로 그램매매는 1,338억 순매수(차익 512억 순매수, 비차익 826억 순매수)
지수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55P(+0.56%) 상승한 279.45에서 거래를 마쳤고, 거래량은 전거래일보다 41,379계약 감소한 179,215계약을 기록. 미결제약정은 전거래일보다 48,080계약 감소한 210,871계약을 기록.
12월10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美/中 무역협상 관망세 지속 등에 소폭 상승.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1.6원 오른 1,191.5원으로 출발. 장 초반 하락해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오전장 1,189.7원(-0.2원)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상승세를 보인 원/달러 환율은 오후장 1,193.9원(+4.0원)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장 후반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한 끝에 1,191.3원(+1.4원)에서 거래를 마감.
현지시간 15일 미국이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가 운데, 관망세가 지속되며 원/달러 환율은소폭 상승. 1단계 무역합의가 추가 관세 부 과 이전에 타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관심과 함께 10~11일(현지시간) 진행되는 올해 마지막 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지며 원/달러 환율의 변동폭은 제한되는 모습. 한편, 장 마감 무렵 위안화가 강세를 보였고, 이에 연동되는 모습 을 보이며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
12월10일 국내채권가격은 저가 매수세 유입 지속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 채권시장은 FOMC 및 ECB 회의를 앞두고 혼조 마감한 가운데, 금일 국내채권가격은 상승 출발. 이후 상승폭을 확대하며 거래를마감.
전일에 이어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국 내채권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특히 30년물 매수세로 장기물 위주의 강세를 나타 내는 모습.
한편, 이번주 FOMC 회의와 ECB 회의를 앞둔 가운데, 시장에서는 이번 두 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전망하는 모습.
국고채 3년물은 전거래일보다 2.2bp 하락한 1.390% 기록. 5년물과 10년물은 전거래일보다 각각 1.0bp, 4.8bp 하락한 1.478%, 1.616%를 기록. CD(91일물)금리는 전거래일과 동일한 1.53%로 마감.
728x90
반응형
'경제시황 & 특징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2.10 중국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2.11 |
---|---|
19.12.10 오늘의 특징주 (로나아빠) (0) | 2019.12.11 |
19.12.09 미국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2.10 |
19.12.09 유럽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2.10 |
19.12.09 중국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0) | 2019.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