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시황 & 특징종목

19.12.03 국내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by 주승원 2019. 12. 4.
반응형
12/3 KOSPI 2,084.07(-0.38%) 트럼프 남미 관세 부과 소식(-), 美 경제지표 부진(-), 외국인 19거래일 연속 순매도(-), 연기금 등의 기관및 개인 순매수(+)

지난밤 뉴 욕증시가 트럼프 대통령 남미 철강 관세 부과 소식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 도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075.02(-16.90P, -0.81%)로 하락 출발. 장 초반 1% 넘게 하락하며 2,066.60(-25.32P, -1.2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 록 낙폭을줄였음. 오후 들어 2,085.71(-6.21P, -0.3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낙폭을 다소 키우기도 했으나 결국 2,084.07(-7.85P, -0.38%)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 프 대통령 남미 관세 부과 소식과 美 경제지표 부진 등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트 럼프 대통령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자국 통화를 절하해 미국 농가에 불이익을 주고 있다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고율관세를 다시 부과 하겠다고 깜짝 발표. 아울러, 美 무역대표부가 프랑스산 수입품 24억 달러 규모에 최 대 100%의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소식이 전해졌고,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이 19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한 점도 지수를 끌어내렸음. 다만, 연기금 등을 비롯한 기관과 개인이 각각 1,000억 넘는 순매수를 보이면서 지수의 낙폭은 제한.

일본, 홍콩이 하락했고, 대만, 중국이 상승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등락이 엇갈림.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1원 상승한 1,187.2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2,706억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1,165억, 1,273억 순매수.  선물시장 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528계약, 1,528계약 순매도, 기관은 3,286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 삼성SDI(+1.28%), 삼성바이오로직스(+1.03%), 삼성물산(+1.00%), 한국전력(+0.88%), 기아차(+0.82%), LG생활건강(+0.64%), 현대모비스(+0.61%), NAVER(+0.29%), SK텔레콤(+0.21%) 등이 상승. 반면, SK하이닉스(-2.24%), 삼성전자(-0.99%), 삼성에스디에스(-0.75%), 셀트리온(-0.57%), POSCO(-0.43%), 신한지주(-0.34%), KB금융(-0.22%)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전 기/전자(-0.92%), 은행(-0.83%), 철강/금속(-0.67%), 의료정밀(-0.65%), 보험(-0.64%), 금융(-0.51%), 제조(-0.45%), 섬유/의복(-0.44%), 종이/목재(-0.42%), 서비스(-0.25%) 등이 하락. 반면, 전기가스(+0.88%), 기계(+0.87%), 음식료(+0.47%), 통신(+0.21%), 운수장비(+0.20%) 등은 상승.


12/3 KODAQ 629.58(-0.78%) 트럼프 남미 관세 부과 소식(-), 美 경제지표 부진(-), 외국인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대통령 남미 철강 관세 부과 소식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30.07(-4.43P, -0.70%)로 하락 출발. 장 초반 627.00(-7.50P, -1.18%)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630선 위로 낙폭을 줄이기도 했음.  재차 낙폭을 키워 627선까지 하락했으나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632.01(-2.49P, -0.39%)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 이후 장 막판 낙폭을 다시 키운 끝에 629.58(-4.92P, -0.78%)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남미 관세 부과 소식과 미국 의 경제지표 부진 속에 외국인이 순매도를 보이면서 코스닥지수는 하락 마감.

수 급별로는 외국인이 525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586억, 3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 메지온(+9.90%), 케이엠더블유(+4.38%), 컴투스(+0.91%), 이오테크닉스(+0.70%), 솔브레인(+0.58%), 제넥신(+0.57%), CJ ENM(+0.46%), 스튜디오드래곤(+0.39%), 에스에프에이(+0.23%) 등이 상승. 반면, 에이치엘비(-9.84%), 헬릭스미스(-6.87%), 고영(-2.82%), 셀트리온헬스케어(-1.63%), 셀트리온제약(-1.11%), 파라다이스(-1.06%), 휴젤(-0.88%)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운송장비/부품(-5.09%), 종이/목재(-3.09%), 기타서비스(-1.32%), 운송(-1.22%), 유통(-1.19%), 제조(-1.18%), 기계/장비(-1.16%), 의료/정밀기기(-1.06%), 통신서비스(-1.00%), 제약(-1.00%), 디지털컨텐츠(-0.83%) 등은 하락. 반면, 정보기기(+1.06%),인터넷(+0.65%), 통신장비(+0.59%), 기타제조(+0.31%), 일반전기전자(+0.31%), 컴퓨터서비스(+0.30%), 비금속(+0.26%) 등은 상승.


12월3일 KOSPI200 선물지수는 외국인/개인 순매도 등으로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남미 철강 관세 부과 소식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지수선물은 275.30(-0.92%)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74.00(-1.39%)에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시간 이 갈수록 낙폭을 축소했음. 오후장 276.85(-0.36%)에 장중 고점을 형성하는 등 276선 중반대에서 하락세를 이어간 지수선물은 결국 276.35(-1.50P, -0.54%)에서 거래를 마감.

이날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528계약, 1,528계약 순매도, 기관은 3,286계약 순 매수. 현,선물간 가격차이인 베이시스는 0.06을 기록. 프로그램매매는 1,247억 순매도(차익 271억 순매도, 비차익 976억 순매도).

지수선물은 전거래일보다 1.60포인트 하락한 276.25에서 거래를 마쳤고, 거래량은 전거래일보다 55,172계약 증가한 221,407계약을 기록, 미결제약정은 전거래일보다 1,252계약 증가한 331,491계약을 나타냄.



12월3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미국發 보호무역주의 확대 우려 등에 상승.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2.4원 오른 1,185.5원으로 출발. 시초가 부근 에서 등락을 보이다 상승폭을 확대해 1,187.7원(+4.6원)에 장중 고점을 형성 한 뒤 1,187원 선 부근에서 움직였음. 이후 상승폭을 축소한 원/달러 환율은 오후장 1,183.9원(+0.8원)에 장중 저점을형성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까지 상승폭을 재차 확대한 끝에 1,187.2원(+4.1원)에서 거래를 마감.

美/中간 무역갈등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남미국가에 철강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發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가커졌음.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자국 통화가치를 떨어뜨려 美 농민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며, 두국가의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재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음.

아울러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이 주식 순매도를 이어간 점과 국내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진 점 등도 원/달러 환 율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외국인이 코스피시장에서 19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이어간  가운데, 이날도 외국인은 2,700억원 넘게 순매도를 이어갔고, 19거래일간 총 4조6,000억 규모의 순매도를 나타냈음. 또한,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0.4% 증가해 속보치와 같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GDP디플레이터는 전년대비 마이 너스(-) 1.6%를 기록해 1999년 2분기 이후 2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음.



12월3일 국내채권가격은 호주 금리 동결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 채권시장은 美 제조업 지표 부진에도 美/中 무역합의 및 고용보고서 관망세 속 하락 마감한 가운데, 금일 국내채권가격은 하락 출발. 이후 하락폭을 확대하며 거래를 마감.

호주가 금리 를 동결하고 비우호적인 성명서를 발표한 점이 국내채권가격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호주중앙은행은 현지시간으로 2일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75%로 동결했음.  이와 관련, 호주중앙은행은 글로벌 경제 전망이 여전히 합리적 수준이며, 리스크가 하방으로기울어져 있으나 일부 리스크는 최근 들어 완화됐다고 밝힘.

국고채 3년물 은 전거래일보다 3.5bp 상승한 1.460% 기록. 5년물과 10년물은 전거래일보다 각각 3.1bp, 4.8bp 상승한 1.553%, 1.736%를 기록. CD(91일물)금리는 전거래일과 동일한 1.53%로 마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