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시황 & 특징종목

19.12.04 국내증시 마감시황 (로니아빠)

by 주승원 2019. 12. 5.
반응형
12/4 KOSPI 
2,068.89(-0.73%) 트럼프 美/中 무역협상 타결 지연 시사 발언(-), 트럼프 대북 강경 발언(-), 외국인 20거래일 연속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美 대통령의 美/中 무역협상 타결 지연 시사 발언 등에 하락했고, 주요 유럽증시도 대체로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070.84(-13.23P, -0.63%)로 하락 출발. 장초반 2,072.91(-11.16P, -0.5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확대했고,정오 무렵 2,057.45(-26.62P, -1.28%)에서 저점을 형성. 오후 장중 서서히 낙폭을 만회해 2,070선을 회복하기도 했지만, 장 막판 재차 낙폭을 확대하며 결국 2,068.89(-15.18P, -0.73%)로 장을 마감. 美/中 무역협상 지연 우려 속에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강경 발언 등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불거지며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은 20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이어가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한편,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주요 아시아증시도 일제히 하락.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보다 7.1원 상승한 1,194.3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3,769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205억, 315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590계약, 302계약 순매도, 기관 은 2,246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삼성SDI(-5.49%), LG화학(-4.20%), 셀트리온(-2.01%), POSCO(-1.73%), 삼성에스디에스(-1.52%), SK 텔레콤(-1.44%), SK하이닉스(-1.27%),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신한지주, LG생활건강, 기아차, SK 등이 하락. 반면, 한국전력(+2.63%), NAVER(+1.45%), 삼성물산, 현 대모비스, 현대차, KB금융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종이목재(-2.08%), 화학(-1.77%), 비금속광물(-1.58%), 섬유의복(-1.50%), 의료정밀(-1.23%),  전기전자(-1.21%), 제조업(-1.11%), 통신업(-1.04%), 철강금속(-0.97%), 의약품(-0.91%), 기계(-0.88%), 건설업(-0.78%), 보험(-0.77%), 음식료업(-0.55%), 금융업(-0.27%), 운수창고(-0.22%)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전기가스업(+1.96%), 증권(+0.37%), 서비 스업(+0.25%) 등 일부 업종만 상승.


12/4 KODAQ
625.27(-0.68%) 트럼프 美/中 무역협상 타결 지연 시사 발언 및 대북 강경 발언(-),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 타결 지연 우려 속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626.06(-3.52P, -0.56%)으로 하락 출발. 장초반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630.45(+0.87P, +0.14%)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 지만, 이내 하락 전환. 점차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들어 622.67(-6.91P, -1.10%)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625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가 던 지수는 결국 625.27(-4.31P,-0.68%)로 장을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美/中 무역협 상 타결 지연 시사 발언 및 대북 강경 발언 등이 악재로 작용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56억, 168억 순매도, 개인은 441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메지온(-5.63%), 헬릭스미스(-2.50%), 셀트리온헬스케어(-2.48%), 에스에프에이(-2.45%), 파라다이스(-1.88%), 메디톡스(-1.06%), 셀트리온제약, 케이엠더블유, 스튜디오드래곤, 원익IPS, CJ ENM 등이 하락. 반면, 에이치엘비(+8.33%), 에이치 엘비생명과학(+7.23%), 펄어비스(+1.70%), 컴투스, 휴젤, 고영, SK머티리얼즈, 제넥신, 솔브레인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비금속(-2.66%) 업종이 2% 넘게 하락했으며, 종이/목재(-1.75%), 건설(-1.73%), IT 부품(-1.69%), 유통(-1.68%), 정보기기(-1.43%), 통신서비스(-1.33%), 금속(-1.30%), 섬유/의류(-1.25%), 오락/ 문화(-1.20%), 음식료/담배(-1.20%), 의료/정밀기기(-1.18%), IT H/W(-1.17%), 일반 전기전자(-1.11%), 화학(-1.08%), 금융(-1.07%)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운송장 비/부품(+3.81%), 인터넷(+1.55%), 컴퓨터서비스(+0.17%) 등 일부 업종은 상승.


12월4일 KOSPI200 선물지수

지난밤 뉴욕증 시가 도널드 트럼프 美 대통령의 美/中 무역협상 타결 지연 시사 발언 등에 하락 마감한 가운데, 이날 지수선물은 274.15(-0.76%)로 하락 출발. 개장 후 낙폭을 소폭 축소 하며 274.95(-0.47%)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으나, 재차 낙폭을 확대하며 정오 무렵 272.90(-1.21%)에서 저점을 형성. 오후장 낙폭을 축소해나간 지수선물은 274.80(-1.45P, -0.52%)에서 거래를 마감. 美/中 무역합의 지연 우려가부각된 가운데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를 보이며 지수선물 하락을 주도함.

이날 외국인과 개인은 각 각 3,590계약, 302계약을 순매도한 반면 기관은 2,246계약을 순매수. 현, 선물간 가격차이인 베이시스는 0.65를기록. 프로그램매매는 870억 순매도(차익 125억 순매수, 비차익 996억 순매도)

지수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45P(-0.52%) 하락한 274.80에서  거래를 마쳤고, 거래량은 전거래일보다 23,054계약 증가한 248,540계약을 기록. 미결 제약정은 전거래일보다 2,879계약 증가한 334,370계약을 기록.


12월4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美/中 무역합의 지연 우려 등에 상승.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3.3원 오른 1,190.5원으로 출발. 장 초반 1,190.0 원(+2.8원)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확대함.오후장 1,194원 중반에서 상승세 를 보이다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며 1,195.8원(+8.6원)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줄이며 1,194.3원(+7.1원)에서 거래를 마감.

美/中 무역합의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된 점이 이날 원/달러 환율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현지시간 12월3일 美 트럼프 대통령은 런던에서 개최된 NATO 정상회의에서 美/中 무역합의가 내년 대선 후로 미뤄지는 것도 괜찮다고 언급했으며, 합의에 대한 데드라인은 없다고밝힘.

아울 러,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강경 발언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된 점도 원/달러 환 율에 상승압력을 가함. NATO 정상회의 기자회견에서 美 트럼프 대통령은 北 김정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으나, 필요하다면 북한에 무력을 사 용할 수도 있다고 언급함.


12월4일 국내채권

美/中 무역협상 지연 우려에 급등.

지난밤 뉴욕 채권시장 은 트럼프 대통령의 美/中 무역협상 지연 발언 등에 무역협상 우려가 커지며 큰 폭으 로 상승한 가운데, 금일 국내채권가격도 상승 출발. 이후 상승폭을 확대하며 거래를  마감.

美/中 무역협상 지연에 대한 우려가 커진 점이 국내채권가격의 급등요인으로 작용.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트럼프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언론을 통해 "美/中 무역합의에 대해 데드라인은 없으며, 중국과 합의를 위해 (내년) 대선 이후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힘.

국고채 3년물은 전거래일보다 5.4bp 급락한 1.406% 기록. 5년물과 10년물은 전거래일보다 각각 7.3bp, 7.9bp 급락한 1.480%, 1.657%를 기록. CD(91일물)금리는 전거래일과 동일한 1.53%로 마감.



728x90
반응형

댓글